우리나라에서 2016년에 제정된 기념일로 매년 3월 넷째 주 금요일로 지정되었고 북한의 서해 도발에 맞서 희생된 우리 호국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며 추모하는 날이다. 그 대표적인 사건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연평도 포격도발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우리나라의 섬마을 연평도에 170여발의 포탄을 퍼부었던 날이다. '서울을 불다바로 만들겠다.'라고 위협해 오던 북한이 우리 국군과 주한 미군의 육해공 연합 호국훈련을 핑계로 연평도를 포격했다. 북한은 선전포고도 없이 연평도를 포격했고 이것은 6.25 전쟁 정전협정 후 최초로 민간지역을 공격한 것이다.
연평도는 원래 황해도 해주 군 지역이었으나 해방 후 남북분단으로 경기도 옹진군으로 이관되었다. 북서쪽으로 38선과 인접해 있으며 북한과 매우 가깝게 위치해 있다. 연평도와 인천항 거리는 122km이지만 북한의 육세미까지의 거리는 12.7km밖에 되지 않아 날씨가 맑은 날에는 황해도 해주 땅까지도 뚜렷이 보일정도이다.
그해 오후 2시 34분 북한에게 공격을 당한 뒤 2시 40분경 우리나라도 K-9 자주포 3문을 준비하여 47분에 대응사격을 했고 강령군 무도 군기지에 50발의 보복 사격을 가했으며 이후 북한이 다시 포격하자 우리 군도 30여 발을 더 발사했습니다. 이로써 북한군은 총 170여 발, 우리 군은 총 80여 발을 사격했고 15시 41분경에 포격은 중단되었다. 이 결과로 포격 다음날부터 연평도 주민들은 인천으로 대피했으며, 해병대 전사 2명, 중상 6명, 경상 10면이며 민간인도 사망 2명, 경상 3명의 피해를 입었다.
제2 연평해전
2002년 월드컵에 대한 열기로 우리나라 전체가 들끓고 있을 때 월드컵의 마지막날을 하루 앞둔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 25분경 연평도 서쪽 14마일 해상에서 남북한 함정 사이에서 일어난 해전이다. 이것은 1999년 6월 15일 오전 발생했던 제1 연평해전이 벌어진 지 3년 만에 같은 지역에서 또다시 벌어진 안타까운 일이었다. 원래 '서교해전'으로 불리다가 2008년 4월 제2 연평해전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 교전은 원래 북한의 꽃게잡이 어선을 경계하던 북한 경비정 2척이 계속 남한 측 북방한계선을 침범하면서 쭉 남하했고 우리 측에서 퇴거 경고 방송을 했지만, 아무 징후도 보이지 않던 북한 경비정이 갑자기 선제공격을 가해 우리 군 고속정 참수리 357호의 조타실이 순식간에 불타게 되었다. 이때부터 교전이 시작됐고 인근 해역에 있던 해군 고속정과 초계정들이 합류하여 교전이 일어났고 오전 10시 43분경 북한 경비정 1척에서 불이 나자 나머지 1척과 후퇴하였고 10시 50분경에 교전은 끝이 났다. 이 교전으로 우리 해군 윤영하 소령, 한상국 상사, 조천형 중사, 황도현 중사, 서후원 중사, 박동현 병장 이렇게 6명이 전사하였고 19명이 부상당했다. 25분의 짧은 교전이었지만, 소중한 우리 군사들의 목숨을 앗아간 슬픈 교전이다. 이후 우리 국방부는 북한의 행위가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이며, 묵과할 수 없는 무력도발로 규정하고 북한 측에 세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강하게 요구하였으나 북한의 답은 듣지 못한 상태이다.
천안함 피격사건
천안함 피격사건은 1987년 건조되어 제1차 연평해전에도 참가했던 초계함 천안함이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북한 잠수함의 어뢰공격으로 침몰된 사건이다. 사건 발생 직후 인천해양경찰서 소속 해안경비정에 의해 천안함에 타고 있던 승조원 104명 중 58명이 구조되었으나 나머지 46명은 실종된 상태였고 그중 40명은 사망자로 확인되었고 6명은 실종자로 남아있다. 사건당일 북한의 기지를 떠난 잠수정 여러 척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정보가 사령부 정보실로 들어왔으나 이런 일은 수시로 있었다는 이유로 경계태세를 강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날 저녁 9시 22분쯤 천안함은 큰 폭발음과 함께 함체가 두 동강이 났고 함미과 5분 만에 침몰되고 말았다. 그 후 정부는 '민군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정밀탐색을 했고 한국, 미국, 영국 전문가들은 조사 끝에 어뢰가 천안함 가스터빈실 아래 좌현 3m에 근접해 폭발했다고 결론지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조건 금액 신청방법 자격확인 (0) | 2023.04.03 |
---|---|
전남 꽃구경 담양 소쇄원 벚꽃 광주근교 꽃구경 아이데리고 갈만한곳 (0) | 2023.03.27 |
제철해산물 계절별 해산물 식재료 음식 영양성분 (0) | 2023.03.21 |
식중독의 종류 증상 대처법 (1) | 2023.03.21 |
화폐가 생겨난 배경과 발전과정 우리나라 지폐속 인물들 (0) | 2023.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