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매일 쓰는 돈, 역사속에서 어떻게 생겨났는지 화폐가 생겨난 배경과 발전과정, 우리나라 지폐속의 인물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화폐가 생겨난 배경
돈이라는 개념조차 없던 아주 먼 옛날, 인류가 수렵채집생활에서 정착생활로 생활 방식이 바뀌면서 농사를 짓기 시작할 때이다. 자신들이 먹고도 남을 만큼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된 인류는 다른 사람과 거래하는 행위가 자연스럽게 발생하게 되고 사람들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물건과 자신이 필요한 물건을 서로 바꾸었는데, 이것이 바로 물건과 물건을 교환하는 물물교환이라고 한다. 그런데 물물교환을 하다 보니 여러 문제점이 생겨났다. 첫째로 물건을 직접 가져가서 거래해야 했기에 매우 불편했고 얼마큼 교환해야 하는지, 가치의 산정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가치판단이 쉽고, 이동이 쉬우며 쉽게 가치를 쪼갤 수 있는 매개체가 생겨난다. 그것은 농경시대에는 가축이나 곡식이 화폐의 역할을 했고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검이, 철기시대에는 철전과 금, 은이 사용되었다.
화폐의 발전과정
본격적으로 화폐가 사용되던 때는 고려시대에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중국 화폐가 유입되어 무역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일반 시장에서는 쌀, 물품화폐, 금, 은 등이 주로 화폐로 사용되었고 1102년 이후에는 각종 주화를 유통시키게 되었다. 고려시대 말에는 원나라의 지폐가 국내로 들어와 금과 은, 동과 같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저화 및 동전의 유통이 시작되었다. 태조는 '저화'라는 지폐를, 세종은 '조선통보'라는 엽전의 유통을 시도해 봤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가장 큰 원인은 화폐 사용 경험의 부족과 불신 때문이었고 서민들이 먹고 입을 수 있는 쌀이나 면포를 더 선호했고, 여기에는 조정에서 세금을 돈이 아닌 쌀, 면포, 특산물로 받으려는 모순적인 체제 때문이기도 했다. 1633년 인조 때 '상평통보' 우리가 알고 있는 엽전이 만들어졌으며 숙종이 유통시키면서 국가의 유일한 법화가 되어 유통기반을 다질 수 있게 되었다.이 엽전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지게 되고 광복 이후 한국은행이 출범하면서 처음으로 1,000원권과 100원권을 발행했다. 1952년에는 한국조폐공사를 세우며 1,000원권과 50원권을 발행한 후 한국은행권의 제조는 한국조폐공사에서 전부 맡게 되었다. 그 후 군사정변 이후 화폐단위를 '원'으로 변경하였고 경제가 성장하고 화폐수요가 증가하면서 1970년대에 5,000원, 1만 원권을 발행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현금뿐만 아니라 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수표, 예금, 어음, 유가증권 등도 화폐의 범위에 해당된다.
우리나라 지폐속 인물
오만 원권 지폐의 앞면에는 신사임당 초상과 함께 '묵포도도'와 '초충도수병'의 가지 그림이 있다. 뒷면에는 우리나라 최초 세로방향으로 월매도와 풍족도 그림이 들어가 있다. 만 원권의 앞면에는 세종대왕의 초상과 함께 한국의 5대 명산과 해, 달, 소나무를 그린 일월오봉도(조선시대 궁궐 안 왕이 앉는 자리뒤에 놓아 왕권을 상징하는 병풍장식)와 용비어천가를 배경으로 사용하였다. 만 원권 지폐의 뒷면에는 세종대왕 시절에 천체의 운행과 위치를 측정하던 혼천의, 천상열차분야지도(별들을 하늘의 십이 차와 분야에 따라 그려놓은 천문도)와 국내 최대 천체망원경의 이미지가 들어가 있다. 오천 원권 지폐의 앞면에는 율곡 이이의 초상과 함께 조선 전기에 율곡이 태어난 곳인 오죽헌과 오죽을 배경이미지로 사영하였고 뒷면에는 율곡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8폭 병풍에 있는 그림을 이미지화하여 사용되어 있다. 천 원권에는 퇴계이황의 초상과 성균관 유생들이 글을 익힌 명륜당을 배경으로 사용했으며 퇴계선생이 생전에 가장 아꼈던 매화나무가 그려져 있다. 뒷면에는 도산서원의 주변 산수를 담은 겸재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사용되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철해산물 계절별 해산물 식재료 음식 영양성분 (0) | 2023.03.21 |
---|---|
식중독의 종류 증상 대처법 (1) | 2023.03.21 |
MBTI 유형별 분류 성격 궁합 (0) | 2023.03.16 |
6.25 전쟁이 일어난 배경과 과정 결과 참전국 (0) | 2023.03.15 |
역사적으로 유행했던 바이러스의 종류 나병 페스트 천연두 콜레라 황열병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0) | 2023.03.14 |
댓글